책을 읽고서

논문작성에 있어 통계 기초를 닦고 싶다면?

페어베어 2025. 2. 7. 18:14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 통계분석(노경섭 지음)

 

  통계를 독학하다 보면 어느 순간 벽에 막힌 듯한 느낌이 들 때가 온다. 기초적인 개념들은 비교적 수월하게 익힐 수 있지만, 중급 이상의 통계기법을 공부할 때부터는 이해가 더디고, 이게 무슨 말이지? 라고 머리를 쥐어싸매게 된다.  나는 통계 자체가 어렵다기보다는 저자들이 책을 지나치게 학술적으로 쓰려하고, 해외 문헌을 번역해서 가져오는 것이 가장 큰 문제라고 생각한다.  다음 두 문장을 비교해보면 이해가 단번에 갈 것이다. 

 

척도의 신뢰성은 한 대상을 유사한 측정도구로 여러 번 측정하거나 한 가지 측정도구로 반복 측정했을 때,
일관성 있는 결과를 산출하는 정도에 관련된다.
신뢰성은 연구자가 어떤 연구문제에 대해 실시한 설문조사에 대하여 그 조사를 다시 반복한다고 가정할 때, 그 결과가 얼마나 원래 측정치와 일치할지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두 문장 모두 신뢰성분석을 정의해놓았다. 어느 것이 더 이해하기 쉬운가? 당연히 후자일 것이다.  후자의 예시는 위의 책에 그대로 나오는 문장이다. 원론적으로 설명하거나 번역본을 그대로 옮긴 것이 아닌, 정말 살아있는 언어로, 직관적으로 머릿 속에  개념이 쏙쏙 박히게  설명을 하고 있다. 

 

감사하게도 메일도 따로 받으신다. 컬러임에도 불구하고 책값도 매우 저렴하다. 통계적 검정 과정에 대해서도 꼼꼼하게 설명했기에 따로 사서 소장할 예정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