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통계학

표집(Sampling)이란?

페어베어 2025. 2. 8. 18:26

  표집(Sampling)은 전체 모집단(Population)에서 일부 표본(Sample)을 선택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모집단(Population)은 연구자가 관심을 가지는 전체 집단이다. 즉, 연구의 대상이 되는 모든 개체라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당신이 비자살성 자해에 관심을 가진다면, 모집단은 비자살성 자해를 하는 모든 대상이 모집단인 것이다. 표본(Sample)은 모집단에서 일부를 선정한 것을 의미한다. 비자살성 자해 성향을 가진 사람을 모두 연구하는 것은 시간과 비용에 있어 경제적이지 못하기에, 일부만 선택하여 연구를 수행하고 이를 통해 모집단 전체를 추론하는게 합당할 것이다. 이것이 표집(sampling)이다.

  표집의 방법은 크게 확률표집(Probability Sampling)비확률표집(Non-Probability Sampling)으로 나뉜다. 현실적인 심리학연구는 대부분 비확률 표집을 사용한다. 현실적인 여건에서 확률표집을 사용하기가 힘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외국에서 연구된 심리학 논문에서는 확률표집이 사용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특히 중국) 아마도 인구가 많아서 가능한게 아닐까싶다. 

 

확률표집

1. 단순무선표집

난수표를 이용하여, Random Sampling을 실시해 무작위로 대상자를 선별하는 것이다.

 

2. 체계적 표집

모집단에서 일정 간격(k)으로 표본을 정하는 방식이다. 연구자가 100명중 10명을 선정하고싶다면 10,20,30.... 이런 일정한 간격으로 표집하는 것이다.

 

3. 층화표집

모집단을 특정 기준(층, stratum)으로 나눈 후, 각 층에서 일정 비율만큼 표본을 선정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전국 여론조사에서 인구 비율에 맞춰 서울(40%) / 경기(20%) / 전라도(20%) / 경상도(20%)로 구분하여 총 100명을 표집 → 서울에서 40명, 경기에서 20명, 전라도에서 20명, 경상도에서 20명을 표본으로 선정하는 것이다.

 

4. 군집표집

모집단을 자연적으로 형성된 집단(cluster) 단위로 나누고, 일부 군집을 랜덤으로 선정한 후, 해당 군집 내 모든 개체를 표본으로 삼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학교 단위로 군집을 구성 → 전국 500개 학교 중 무작위로 10개 학교를 선정하고, 해당 학교 학생 전체를 조사한다.

 

비확률 표집

1. 편의표집

연구자가 접근하기 쉬운 대상을 표본으로 선정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대학생 연구자가 자신의 친구나 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는 경우다. 보통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대학의 심리학이나 그 외 교양수업의 수강생을 대상으로 모집하거나,  카페나 sns를 통해 연구모집자 공고를 내는 것이 편의표집의 대표적인 예시라고 할 수 있겠다. 대표적인 심리학 연구의 표집방식이다.

 

2. 의도적표집

연구 목적에 맞는 특정 기준을 충족하는 사람들을 연구자가 의도적으로 선정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우울과 불안 증상이 자살에 미치는 영향에서의 울분의 매개효과(류남길 외 2020)에서는 우울과 불안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 해 우울장애와 불안장애 진단을 받은 사람을 의도적으로 표집하였다.  즉, 특정 임상집단에 대해 모집하기 위한 표집이었다는 것이다.

 

3. 눈덩이표집

초기에 선정된 소수의 표본이 새로운 참가자를 추천하면서 점점 더 많은 표본을 확보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성소수자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연구에서 기존의 연구참여자가 자신이 아는 다른 성소수자를 소개하는 경우이다. 보통 성소수자끼리는 커뮤니티로 연결된 경우가 많기 떄문에 이 방법이 용이하다고 볼 수 있다. 주로 질적연구에서 많이 보이는 표집방법이다. 

  예를 들어, 신천지에서 탈퇴한 20대 청년들의심리변화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김명수 2021)에서는 기독교 방송국에서 보조 작가를 하고 있는 연구참여자를 통해 5명의 다른 연구참여자를 소개받았고, 그 5명 중 한 명의 소개로 2명의 다른 연구참여자를 소개받았다. 이와 같이 지인을 통해 연구참여자 모집하는 형식인 “체인(Chain)” 방식으로 모집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