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산분석과 마찬가지로, 선형성을 파악하는데 중점을 둔다. 차이점이 있다면, 공분산은 선형성의 유무, 피어슨상관계수는 선형관계의 강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형성은 독립변수가 일정하게 변화할 때, 종속변수도 일정 비율로 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처음 듣는다면 이해하기 어려우므로, 예시를 통해 설명해보도록 하겠다.
지능지수(IQ)와 학업 성적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상관계수 검정이 가능하다.
분석(A) - 상관분석(C) - 이변량상관계수(B)를 클릭한다.
위의 두가지 변인에 대해 모두 왼쪽의 변수(V)로 옮겨준다. 그 다음 단측으로 할 것인지 양측으로 할 것인지에 대해 유의성을 검정에 대한 설정을 해야한다. 그리고 확인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창이 뜬다.
상관계수는 .789, 유의확률은 0.00으로 결과값에 나타난 상관계수값이 유의수준 0.05에서 유의하다는 것을 뜻한다. 즉, 지능지수가 학업성적에 있어 0.789만큼 선형관계가 있다는 것이다. (1이나 -1로 갈 수록 선형성이 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비선형적인 관계는 파악할 수 없다. 비선형성을 파악하기위해서는 회귀분석을 사용해야한다.
데이터의 예시파일을 올려놓았으니 참고하길 바란다.
'심리통계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순회귀분석(Simple Linear Regression) (0) | 2025.01.15 |
---|---|
편상관계수(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 (0) | 2025.01.14 |
다변량분석(MANOVA)과 다변량 공분산분석(MANCOVA) (0) | 2025.01.07 |
분산분석(ANOVA)과 공분산분석(ANCOVA) (0) | 2025.01.05 |
혼입변인(Confounding variable)란 무엇인가? (1) | 2025.01.02 |